반응형
CV케이블은
가교 폴리에틸렌 케이블
즉 XLPE케이블이라고도 불리는데,
이를 알기 위해서
일단 가교 폴리에틸렌부터 알아야 한다.
가교 폴리에틸렌은 기존의 폴리에틸렌이
절연 성능은 좋으나 열에 약한 결점을 화학적으로 보완한
열가소성 수지이다.
이 가교 폴레이텔린을 절연체로 사용한 케이블 그게 끝이다.
방사선 또는 화학처리로 CH2-Ch2의 에틸렌 화학구조를 변화시킨것으로
열특성이 향상 되서 250도에서도 변형이 없고,
연속 사용 온도는 90도 일정도로 내열성이 우수함.
내마모성, 내오존성, 내코로나성, 내수성, 내약품성 등 뭐 좋은건 여러개 있다.
도체- 내부 반도전층 - 절연체 - 외부 반도전층 - 차폐연 동테이프- 억제용테이프 -PVC
등의 구조로 이루어져있으며 반도전층과 금속차폐층에서
절연체외 표면상 전기적 특성을 안정시키는 2중 쉴드 구조로 생각하면 된다.
반응형
'공학 > 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CCB 배선용차단기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 (0) | 2019.12.03 |
---|---|
CV케이블에서 수트리 현상이란 무엇일까? (0) | 2019.11.20 |
CNCV케이블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 (0) | 2019.11.19 |
동기화력(Synchronizing Power)란 무엇일까? (2) | 2019.11.11 |
회생제동의 원리는 지하철을 생각하면 편하다. (0) | 2019.07.17 |